"Design collection"

문제의 인식 새로운 시작

mo.onjuun 2024. 8. 29. 17:37
728x90
반응형

■ Prologue

어느덧 나는 사회생활을 시작한지 6년이 넘어가는 30대 평범한 회사원이다. 6년이라는 시간동은 많은 고민의 흔적으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월급은 항상 부족하고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월급 이외의 돈벌이 수단으로 유튜브에서 알려주는 방법으로 이것 저것 따라해보기도 했다. 주식, 펀드, 블로그, sns, 이미지판매 등 업무에 지장받지 않는 선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하려했다.

 

좋은시도 들이었다고 생각한다.

 

주식트레이딩은 어느정도 할 줄 아는 영역에 들어왔고 블로그는 구글 에드센스까지 획득한 단계까지 왔으니 말이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그것은 주식으로는 여전히 수익을 내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나만의 매매 원칙이 서지 못했다는 점, 블로그는 꾸준히 작성할 만한 나만의 주제를 정립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나는 내가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한체

 

결국 돌고 돌아 나는 제자리에 서있는거 같다는 점이 굉장히 아쉬운 점이다. 이러한 아쉬움들 때문인지 먹고살기 바빠서 였는지 또 멈춰서 있는 나를 발견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고민끝에 나는 희미한 빛의 점을 봤다.

 

"창조는 문제의 인식에서 부터 시작하고 그 문제로 부터 모든것은 완성된다."

 

내가 보는 세상에 변하지 않는 본질이라 깨닫는 순간이었다. 이 말이 앞으로의 내 인생을 어떻게 뒤 흔들지도 모른다.

그래서 다시 조금씩 걸어갈것이다. 내가 끌리고 좋아하는 것에서 부터 문제를 인식하고 해석할 것이다.

 

"본질을 잃지 않는 방법을 찾을것이다."

 

 

■ 변하지 않는것을 찾는 법 

1. Design collection (현상파악)
: 트렌디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 수집
( architecture / interior / space / goods / furniture / etc(산디/시디) / AI 분야)

1-1)  내가끌리는거 수집 (좋아하는거/트랜드 등)
1-2) 수집한것에 대해 간단한 파악 (기본적인 사실)
1-3) 내가 끌린이유 / 트랜드가 된 이유작성 (생각정리 및 추측하여 분석)
1-4) "문제에 대한 인식" 유추하기 (문제인식 해결방안 식으로 유추)

2. Follow-up (따라하기)

: 좋아하는 것을 습작하기


1) 3d 모델링 / 손스케치로 구현해보기 (작업과정 녹화 기록)
2) 놓쳤던 디테일 하면서 알게된 것들 정리

3. Redefinition (재정의)

: 나의 언어로 재해석 하기


1) 3D 모델 또는 스케치상 의도한 바가 더 잘 담기기 위한 방안정리
2) AI를 통한 새로운 해석
3) AI 적용을 위한 방식 정리

 

 

이러한 흐름으로 내가 좋아하는 영역을 명확하게 하고 원인과 이유를 정립하여 완벽한 내 것으로 만드는 여정을 하고자 한다. 현상을 파악하고 현상에 대한 문제를 익식하며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고 방안을 고수하며 새로운 것들을 창조해 나가려 한다.

728x90
LIST